안녕하세요.. 스팟칼라 홍대본점 입니다.
홍대와 이대는 대학원 과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홍대의 경우 거의가 전기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고 후기에서는 뽑는 인원이 제한적 입니다.
이대는 전기나 후기 모두 동일한 비중으로 학생을 선발 합니다.
패션디자인에서 대학원을 진학한다는 것은 본인의 작업에 대해 보다 심도있는 접근을 해 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보통의 경우 패션디자인 학부를 마치고 바로 직장을 갖는게 일반적인 패턴이라 보면 대학원을 진학한다는 것은 본인 작업에 대해 아직 많은 갈증을 가지고 있다는 측면과 작업에 대해 심도있는 완성을 가진다는 측면이 있습니다.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포트폴리오가 출중해야 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본인 작업에 대해 확실한 DNA를 확립해야만 하지요..
이를 위해서는 포트폴리오에 결과 뿐만 아니라 본인의 프로세스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자신 작업에 대한 DNA를 보여주기에는 가장 적절한 방법 입니다.
지금 2달 정도 남은 시간이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본인 작업들을 먼저 봤으면 좋겠습니다.
얼만큼의 작업이 되어 있고 학교에서 요구하는 수준과 어느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봐야 하니까요..
작업을 안본 상황에서 어떻게 하라고 정확하게 말씀드리긴 어려울듯 합니다.
실제 상담을 통해 대학원 과정이 필요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패션디자인은 대학원 과정이 완전히 필요하기 보다는 본인의 선택적 측면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이것 역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작업을 살펴봐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홍대와 이대는 대학원 과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홍대의 경우 거의가 전기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고 후기에서는 뽑는 인원이 제한적 입니다.
이대는 전기나 후기 모두 동일한 비중으로 학생을 선발 합니다.
패션디자인에서 대학원을 진학한다는 것은 본인의 작업에 대해 보다 심도있는 접근을 해 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보통의 경우 패션디자인 학부를 마치고 바로 직장을 갖는게 일반적인 패턴이라 보면 대학원을 진학한다는 것은 본인 작업에 대해 아직 많은 갈증을 가지고 있다는 측면과 작업에 대해 심도있는 완성을 가진다는 측면이 있습니다.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포트폴리오가 출중해야 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본인 작업에 대해 확실한 DNA를 확립해야만 하지요..
이를 위해서는 포트폴리오에 결과 뿐만 아니라 본인의 프로세스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자신 작업에 대한 DNA를 보여주기에는 가장 적절한 방법 입니다.
지금 2달 정도 남은 시간이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본인 작업들을 먼저 봤으면 좋겠습니다.
얼만큼의 작업이 되어 있고 학교에서 요구하는 수준과 어느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봐야 하니까요..
작업을 안본 상황에서 어떻게 하라고 정확하게 말씀드리긴 어려울듯 합니다.
실제 상담을 통해 대학원 과정이 필요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패션디자인은 대학원 과정이 완전히 필요하기 보다는 본인의 선택적 측면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이것 역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작업을 살펴봐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