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Consulting

번호No. 제목[re] 여름방학 수업문의 작성자정선생 작성일2015.04.09 조회1825
본문

안녕하세요~

스팟칼라 홍대점 입니다. 

 

현재 Visual Art전공이고 대학원과정을 인테리어로 생각하고 있다면, 본인에게 필요한 작업은 전공작업입니다. 이미 미술 전공자임으로 파운데이션과정은 필요 없고, 전공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됩니다. 

비슷한 사례로 작년에 Fine Art 전공을 한 학생이 RISD 인테리어 전공으로 T.A Offer에 장학금 20,000불(Pratt의 경우 장학금 $50,000)을 받고 진학한 사례가 있는데요..

현재 본인에게 필요한 작업은 전공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 입니다. 

대학원 과정에서 기초과정이라는 것은 필요가 없습니다. 

 

방학 2달간 작업을 진행한다면, 본인의 그동안 작업물(현 전공)이나 기타 작업물들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진행을 하게 되며, 전공작업 내에서 이러한 작업들은 개념의 발전과정에서의 과정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보통 대학원 과정의 경우 프로젝트가 3개 정도 들어갈 수 있고, 그리고 기타 작업(본인의 원래 전공)의 경우 그 뒤에 첨부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2달 밖에 없어서 프로젝트를 빠르게 진행하고, 대신 프로젝트에 대한 편집은 미국으로 돌아가 원격으로 진행하게 되지요. 

 

대학원을 진학하는 학생들은 방학 포트폴리오 클래스보다 정규 클래스에서 인테리어 전공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맞고, 만약 파운데이션 과정을 준비한다는 것은 대학원과정이 아니라 Pre master 과정으로 진학을 목적으로 하였을 때 이러한 작업물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지금 3학년이고 대학원 과정을 생각하고 있으니, 아직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방학기간동안 전공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을 한다면 올해 여름과 내년 여름까지 해서 최종 마무리는 가능합니다. 

 

보통 인테리어대학원 과정 역시 미국에서 학교를 다닌 학생들이 보다 유리합니다. 

특히 인테리어의 경우 대학원의 전공들이 건축대학 내에 있는 경우와 혹은 미술대학 내에 있는 경우들로 나뉘게 되는데...  본인이 인테리어에서 하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점을 꼼꼼히 따져보며 준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또한 대학원 과정은 필수적으로 인터뷰가 수반되며, 포트폴리오에서 본인의 생각, 정체성 등에 대해 스스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매우 어려워질 수도 있는데요..  전공 프로젝트의 핵심은 이처럼 본인 자신에서 출발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 프로젝트에서 Concept Development가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스스로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아직 방학이 올해와 내년까지 남아있어서 큰 문제는 안될듯 싶습니다. 

 

정규반 수업의 경우 대학원 준비생은(본인은 미술 전공자입니다) 필요한 수업(전공수업)을 듣는 것이 바람직해요~

이 경우 수업료는 방학반보다 훨씬 저렴하게 나온답니다. 

 

여름방학반 수업은 학부생 기준으로 프로그램들이 짜여 있으며, 대학원의 경우 단기간내에 준비를 마치기 보다 호흡을 길게 가져가야 하는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  

즉, 본인은 방학반이 아니라 정규반 수업을 추천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첨부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List
E-Consulting Reservation School / Major Admission List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