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Consulting

번호No. 제목[re] 미대 대학원 작성자정선생 작성일2011.08.21 조회2417
본문

안녕하세요..  스팟칼라 입니다.
꼭 ASU를 고집한다면... 방법은 학부편입밖에는 없을듯 합니다. 순수미술을 전공했기 때문에 학부 편입시 되도록 높은 학년으로 가능할 듯 보입니다.  이 경우 포트폴리오는 본인이 작업한 순수미술 작품이 주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대학원 과정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혹시 주변에 다른 학교도 지원이 가능하다면, 대학원 과정을 진학하는 것이 가장 좋을듯 합니다.

질문하신 대학원 과정과 학부 과정시 포트폴리오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부과정의 포트폴리오에는 전공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포커스 자체가 전공 작업보다는 파운데이션 과정(드로잉을 중심으로 재료, 매체 등의 다양성을 더 중점을 둔 작업)에 더 중심이 맞춰지게 됩니다.

하지만, 대학원 과정은 100% 전공 작업으로 이루어 집니다. 일러스트 전공작업은 본인의 학업계획서(SOP)를 중심으로 그러한 본인의 연구주제까지 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핵심 포인트 입니다.
대학원 과정의 포트폴리오는 작업양또한 중요합니다.  자신의 주제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있어서 충분한 작업양과 품질이 함께 요구 됩니다.
보통 학부 과정을 살펴보면 1학년에는 기본적인 드로잉 등 회화쪽 수업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2학년때는 일러스트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일러스트 관련된 작업들을 경험하게 됩니다.  3학년때 이르러 본격적인 전공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이때는 일러스트에서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사람이나 아니면, 컴퓨터 작업을 진행하는 사람 등 전공에 속해있는 사람들이 다양하게 접근을 해 나가게 됩니다. 4학년때는 이를 심화시켜 나가는 단계 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일러스트 대학원 포트폴리오는 보통 3~4학년때의 작업물들이 중점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대학원 포트폴리오는 이처럼 본인이 대학원에 진학해서 연구를 하고자  하는 주제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되며, 대학원에 가기위해 그동안 충분히 작업을 진행해온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일러스트를 전공하고 일을 받아서 진행하려면, 본인의 경우 순수미술을 전공했기 때문에 학부 편입은 그리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진행한다면 대학원 과정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여지고, 가능하시면 다른 학교까지 확대를 시켜 준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피치못할 사정으로 학부쪽으로 진학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본인 포트폴리오(그동안 작업했었던..)를 먼저 사진촬영해서 제게 보내주신다면..  보다 효율적인 방향제시가 가능할듯 보입니다.

메일은 spotcolor@spotcolor.co.kr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첨부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List
E-Consulting Reservation School / Major Admission List Location